보리차
chapter 03 형변환 본문
상수
- 변수를 선언할 때 final이라는 선언을 추가하면 그 변수는 '상수'가 된다.
- 상수는 값을 딱 한 번만 할당할 수 있고 한 번 할당된 값은 변경이 불가능하다.
-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짓는다.
- 이름이 둘 이상의 단어로 이뤄질 경우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는다.
final int MAX_SIZE = 100;
리터럴(Literals)에 대한 이해
int num = 157; // 숫자 157은 리터럴 상수
컴파일러는 숫자 157을 int형 정수로 인식한다.
long num = 3147483647; // 컴파일 오류 발생, 3147483647을 int로 인식하기 때문.
long num = 3147483647L; // 뒤에 L을 붙여서 Long타입임을 명시
정수형 상수의 표현 방법
int num1 = 11 + 22 + 33; // 10진수
int num2 = 011 + 022 + 033; // 8진수
int num3 = 0x11 + 0x22 + 0x33; // 16진수
int seven = 0B111; // 2진수
int num = 100_000_000; // 자리수 표현
실수형 상수
실수형 상수는 double형으로 인식된다.
float num = 3.0004999f;
명시적 형 변환(Explicit Conversion)
double pi = 3.1415;
int wholeNumber = (int)pi; // pi의 값을 int형으로 명시적 형 변환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ter 06 메소드와 변수의 스코프 (0) | 2022.01.21 |
---|---|
chapter 05 실행 흐름의 컨트롤 (0) | 2022.01.21 |
chapter 04 연산자 (0) | 2022.01.21 |
chapter 02 변수와 자료형 (0) | 2022.01.18 |
chapter 01 (0) | 2022.01.18 |